✅ 트럼프 관세 주가 하락에도 나는 왜 침착했을까?
2018·2020·2025 위기 비교와 나의 대응 전략
현금주의투자자
2025년 3월, 시장에 다시 공포가 돌았다.
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 캠페인에서 중국산 제품 관세 부활 가능성을 언급하며
기술주 중심 ETF들이 하락세를 보였다.
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.
나는 주가가 빠지는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했고,
오히려 계획된 매수 전략을 실행하는 데 집중했다.
⏪ 2018년: 아무것도 하지 못한 나
2018년, 나는 적립식으로 S&P500 펀드를 막 시작한 투자자였다.
그러던 중 미중 무역전쟁이 터지며 글로벌 증시가 크게 흔들렸다.
그 당시 나는
✔ 시장이 왜 빠지는지도 몰랐고
✔ 뭘 해야 할지도 몰랐다.
✔ 그저 자동이체로 나가는 펀드를 바라볼 뿐이었다.
결국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, 공포만 느끼던 시간이었다.
📈 회복은 미국 시장이 더 빨랐다
같은 낙폭을 경험했지만
미국 증시(S&P500)는 훨씬 빠르게 회복했고,
한국 시장은 느리고 더뎠다.
이후 나는 결정했다.
“앞으로는 미국 ETF 중심의 투자 구조를 만들자.”
그때부터 ETF와 배당 중심 포트폴리오를 설계하기 시작했다.
😓 2020년: 성급했던 용기
코로나19로 인한 급락장,
이번엔 겁먹지 않고 추가매수를 시도했다.
문제는
✔ 한 번에 너무 큰 돈을 투입했고
✔ 미국 리츠 ETF에 집중했다는 점이었다.
결과적으로
📉 리츠는 회복이 느렸고
📈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.
나는 그걸 바라보며 배웠다.
“용기만으로 되는 게 아니구나.
전략과 구조가 필요하다.”
✅ 2025년: 준비된 투자자는 흔들리지 않는다
이번 트럼프 관세 뉴스 속 하락장에서도
나는 전혀 흔들리지 않았다.
✔ 매주 10만 원씩 자동 분할매수
✔ QDTE, XDTE, YMAG 중심의 배당 포트폴리오
✔ 매달 입금되는 배당 현금 흐름
이 세 가지가
내 계좌를 심리적으로 안정시켜주었다.
🎯 추가 전략: 조건부 추가매수의 위력
이번에 특히 효과적이었던 건
‘조건부 추가매수’ 전략이었다.
기술주 ETF가 일정 하락 폭(-5%~-8%)에 도달하면
📌 자동으로 매수되도록 조건 주문을 설정했고,
그 덕분에
✔ 공포에 휘둘리지 않고
✔ 체계적으로 평단가를 낮출 수 있었다.
"손이 멈추더라도, 전략은 실행된다"는 확신이 생겼다.
🧠 나는 이제 달라졌다
2018년엔 아무것도 못 했고,
2020년엔 실수를 반복했다.
2025년엔 구조와 루틴 덕분에
나는 시장을 ‘기회’로 볼 수 있었다.
📌 단순히 시장이 회복해서가 아니라,
내가 진짜 변화된 투자자가 되었기 때문이다.
✍️ 마무리하며
뉴스는 매번 무섭다.
하지만 계좌에 흐름이 있다면
그 뉴스는 위협이 아니라 타이밍이 된다.
“내 계좌는 내가 설계한 구조로 움직이고 있다.”
이번 하락장은,
그 구조가 제대로 작동한다는 걸 보여준 계기였다.
🧾 필자 소개 – 현금주의투자자
ETF · 배당 · 연금저축 · 리츠 중심으로
계좌에서 매달 현금이 들어오는 구조를 설계합니다.수익률보다 구조
타이밍보다 루틴
단타보다 복리실수에서 배우고,
흐름 속에 성장하는
현금주의 투자자입니다.
'투자 관련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관세 폭탄, 주가 폭락 대비! 지금 매수해야 할 ETF 10선 (한국 + 미국 종합 전략) (4) | 2025.04.05 |
---|---|
2018년 미중 무역분쟁 vs 2025년 트럼프 관세 쇼크: 시장 충격 비교 분석 (1) | 2025.04.04 |
월배당ETF 분배금 현황 (2024.04) (0) | 2024.03.28 |
2024년 03월 초에 지급되는 ETF의 배당금 공시내역 (0) | 2024.02.28 |
윌리엄 샤프의 투자 전략 (0) | 2023.09.25 |
댓글